[뉴스초점] 2030 부산엑스포 '결전의 날'…최종 PT로 승부수<br /><br /><br />2030 세계박람회의 부산 유치 여부를 결정하는 국제박람회기구 BIE 총회가 현재 프랑스 파리에서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이제 2시간 정도 뒤면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2030년 엑스포 개최지 선정을 위한 3차 경쟁 프리젠테이션에 연사로 나섰던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5년마다 열리는 세계박람회는 하계 올림픽, 월드컵과 더불어 전 세계 3대 행사인데요. 1988년 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을 개최했던 우리가 2030년 등록 엑스포까지 유치한다면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3대 국제행사를 모두 개최하는 나라가 되죠?<br /><br /> 엑스포의 막대한 경제적 성과도 짚어보겠습니다. 그동안 대전과 여수에서 열렸던 인정 박람회는 3개월 정도 열렸는데요. 등록 박람회는 기간이 2배나 길어서 6개월이나 열린다면서요? 2030년 부산에서 엑스포를 유치한다면 어느 정도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?<br /><br /> 지금 2030 부산 엑스포의 경쟁 도시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와 이탈리아 로마인데요. 부산의 가장 큰 경쟁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?<br /><br /> 사실상 가장 큰 경쟁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니겠습니까? 오랫동안 '이슬람 종주국'으로 통했는데요. 엑스포 같은 개방적인 국제 행사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 자체가 새롭다는 반응이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이탈리아의 경우 2015년 엑스포를 유치하지 않았습니까? 당시 이탈리아 수도 로마가 아닌 밀라노에서 열렸는데요. 이번에 다시 로마 유치를 희망한 것만 봐도 엑스포의 효과, 짐작할 수 있겠는데요?<br /><br /> 그런데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2030 세계박람회 개최지를 선출하는 국제박람회기구 총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일각에서는 이탈리아가 로마 엑스포 유치를 포기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오는데요. 이탈리아가 포기한다면 판세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?<br /><br /> 지난 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던 국제박람회기구 제171차 총회에 참석하셨죠? 당시 분위기는 지금과 또 달랐다면서요?<br /><br /> 이제 2시간 정도 남았습니다. 국제박람회기구 제173차 총회에서 2030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국 간 최종 프레젠테이션과 개최지 투표가 진행됩니다. 분위기,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이제 마지막 프리젠테이션이 진행중입니다. 한국에 이어 이탈리아, 사우디 순서로 PT가 진행되는데요, PT 순서도 영향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2030 세계 박람회의 부산 유치를 위한 한국의 마지막 프레젠테이션 연사로 이 분이 나오시네요.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님이죠? PT 연사로 반 전 총장 선택,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특히 환경문제와 관련해서 반기문 전 사무총장이 PT에 참여하는 것, 세계 각국 대표들에게 진정성이 전달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 2015년 파리 협정 내용을 간략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?<br /><br /> 이번 총회에 참석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에 투표권이 많은데요. 반 전 총장님이 현직에 계실 때 저개발국에 엄청난 관심을 갖고 혜택을 베풀었던 것, 우리나라 이미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요?<br /><br /> 연사로 참여하셨던 교수님은 우리나라의 최종 PT, 어떤 내용을 가장 기대하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3개국 최종 PT 이후에는 BIE 회원국의 비밀 전자투표가 진행되죠?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 만약 엑스포 유치에 성공한다면, 그 이후의 움직임도 중요해 보입니다. 정부와 지자체, 그리고 시민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